콘텐츠목차

귀덕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0326
한자 歸德浦
영어음역 Gwideokpo
영어의미역 Gwideokpo Port
이칭/별칭 복덕포,복덕개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귀덕1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포구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귀덕1리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귀덕1리에 있는 포구.

[개설]

귀덕포는 다름 아닌 복덕포라는 말이며 지금의 한림읍 귀덕1리에 있는 복덕개를 두고 이른 말이다.

「제주삼현도」에서는 귀덕리 앞에 복덕포가 있다고 하였다. 귀덕포는 그 당시 귀덕촌 또는 귀덕리의 마을 이름을 취한 포구의 이름이다.

[구성]

귀덕리의 바다 밭은 동쪽의 정짓내에서부터 서쪽의 망밧알까지이다. 이 마을은 지금 복덕개와 모살개 두 개의 포구를 거느리고 있다. 복덕개는 지금으로 보면 보잘것없는 포구에 지나지 않지만 제주도 무속 사회에서는 영등신이 음력 2월 초하룻날 들어왔다가 보름날 떠난다는 믿음이 있다.

영등신은 바로 이 복덕개로 들어왔다가 우도로 나간다고 한다. 영등신은 그 해의 바다 밭은 물론 육지의 밭에 뿌려질 씨앗을 가지고 온다고 믿는 신의 이름이다. 그러니 복덕은 복덕(福德)의 의미를 지닌 말인 것이다.

복덕개를 두고 달리 큰개라고도 일컬었다. 갯가 너럭바위 틈 사이 50m 안팎으로 꼬불꼬불 골진 목으로 들어오면 조금 펑퍼짐한 포구가 있다. 배가 들어오는 목 양쪽으로 돌담을 쌓아 만들었고, 포구에는 돌담으로 둘러 목과 구분했다. 포구는 조간대 상층에, 그리고 목은 중층에 걸쳐 있다. 그러니 썰물에는 목 바깥에 배를 붙여 둬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현황]

지금 오남부리코지 안쪽으로는 동쪽 방파제만 만들어져 있으나 모살개에서부터 짐게여-족은여-큰여까지 이어지는 방파제를 만들 예정으로 있다. 그렇게 되면 복덕개도 그 안에 묻혀 버리게 되는 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