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0015
한자 昭天窟
영어음역 Socheongul
영어의미역 Socheongul Cave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617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손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동굴
면적 48만 6015㎡
길이 3,075m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에 있는 용암 동굴.

[개설]

제주 지역의 용암 동굴 지대는 제주시 구좌읍한림읍, 애월읍 일대에 있으며, 소천굴·황금굴·협재굴, 그리고 협재굴과 이어진 쌍룡굴을 포함하고 있다. 소천굴 입구는 동굴 형성 당시 가스가 뿜어져 나온 구멍이 무너져 생긴 것으로 보이며, 동굴 안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동굴 입구에는 다양한 이끼 식물이 자라고 있다.

소천굴에는 동굴 속의 동굴인 240m 길이의 동굴과 코핀(coffin)이라 불리는 지형이 있는데, 이는 세계에서도 보기 드문 희귀한 것이다. 또한 상어 이빨처럼 생긴 용암 종유석 등 다양한 동굴 생성물이 있어 동굴 생성 과정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현황]

소천굴한라산 북서쪽 비탈길의 높이 130m 지점에 위치한다. 면적은 48만 6015㎡이며 길이는 3,075m로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긴 용암 동굴이다. 소천굴은 대체로 북서쪽 방향의 세 개의 굴로 이루어져 있다.

입구는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남쪽 약 4m 지점 멍오름 북쪽 기슭의 도로변 소나무 밭에 위치한다. 제1 입구는 입구에서 동쪽으로 약 40m 지점에서 매몰되었다. 제2 입구는 북서쪽으로 기울며 약 35m를 구불구불 휘어져 나간다. 동굴 벽, 천장면, 동굴 바닥에는 용암 유출 등 온갖 변화 양상을 보여주면서, 낙반 암석이 산적된 중간 함몰구에 이르게 된다.

제2 입구의 중간 함몰구는 길이 8m, 너비 5m의 큰 타원형으로 깊이는 3m 이상이다. 동굴 벽과 바닥의 바위에는 각종 온대성·난대성 양치식물, 소태류, 상록 관목들이 다채로운 대군락을 이루고 있다.

제3 입구은 제2 입구의 함몰구에서 시작되어 대체로 서쪽 또는 북서쪽으로 약 2,500m나 이어지는 웅장하고 변화가 큰 주굴로, 그 막장은 다량의 패사(貝砂)로 매몰되었다.

제3 입구에는 용암붕(熔岩棚), 용암 석순, 석주 등이 발달하였으며 북쪽 주굴 막장부에는 석회질 피복 형상이 있는 등 용암 동굴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중간 함몰부에는 난대성 양치식물군 등의 천연 식물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토기류나 동물 뼈 등이 발견되었다.

소천굴은 용암 동굴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고 동굴 내에 석회 성분이 녹아 2차 생성물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등 학술적, 지질학적 연구 가치가 높아 1971년 9월 30일 천연기념물 제236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