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종달리 출토 세형 동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2524
한자 終達里出土細形銅劍
영어음역 Hanguksik donggeom
영어의미역 Korean-style bronze dagger
이칭/별칭 종달리 출토 한국식 동검,종달리 출토 좁은 놋단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시대 선사/철기
집필자 강창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검|단검|무기
제작시기/일시 철기시대 초기|기원전 1세기
제작지역 남해안 지방
재질 청동|백동
길이 33㎝ 내외
소장처 국립제주박물관 지도보기
소장처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건입동 261[일주동로 17]
소유자 국립제주박물관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에서 출토된 초기 철기 시대의 청동 또는 백동으로 만든 단검.

[개설]

세형 동검은 청동 또는 백동으로 만든 검몸의 폭이 좁은 단검이다. 한국 초기 철기시대의 대표적인 청동기이며, 검몸과 슴베로 구성되어 있다. 검몸은 끝이 뾰족하며 양날이 있고, 슴베는 짧은 형태로 자루를 별도로 만들어 착장하도록 되어 있다. 전체 길이는 약 30㎝ 내외이다.

세형 동검 자체에 대한 세분된 형식 분류의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다. 대부분 분류의 기준은 등날이 어임 부분 아래까지 형성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검의 폭과 검몸 아래의 만곡도에 둔다. 그리고 학자에 따라서는 봉부의 길이, 등대와 검몸 폭의 비율, 피홈의 유무 등을 기준으로 하기도 한다.

세형 동검이 출토되는 유적은 돌덧널무덤과 널무덤이 대부분이다. 고인돌이나 돌덧널무덤 그리고 후대의 덧널무덤에서는 거의 출토되지 않고 있다. 한국식 세형 동검의 초기형이 상자포리에서 출토되었고, 이 고인돌의 방사성 탄소 연대 자료가 기원전 4~5세기경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동 세형 동검의 상한은 이때까지로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그 하한은 널무덤 유적에서 전한경과 한대 화폐가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기원을 전후한 시기까지 내려오는 것으로 이해된다.

[형태]

제주도에서 확인된 세형 동검은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해안가에서 발견된 1점뿐이다. 이 세형 동검은 검신부의 중간 부위가 절단된 것으로 봉부(鋒部)가 길고 등날이 검신 하단까지 나 있으며 어임 부분이 밋밋해진 후기 형식에 속한다. 절단된 세형동검의 추정 길이는 33㎝ 정도이다.

[의의와 평가]

종달리 수습 세형 동검과 동일 시기 것으로 산지항 일괄 출토 유물 중에 포함된 전형적인 검 부속 금구가 있다. 이 두 점은 그 형식과 공반 유물로 보아 세형 동검 시기 말기에 속한다. 따라서 제주도에 세형 동검의 유입은 그 상한을 기원전 1세기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