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2003
한자 濟州民謠
영어음역 Jeju Minyo
영어의미역 Jeju Folk Song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집필자 양영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9년 12월 1일연표보기 - 제주민요 국가무형문화재 제95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제주민요 국가무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노동요|가창 유희요
형성시기 미상
토리 제주토리|경토리
기능구분 노동요|의식[의례]요|유희요
문화재 지정번호 국가무형문화재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주로 부녀자들 사이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요.

[개설]

국가무형문화재 제95호로 지정된 제주민요들은 대부분 표선면 성읍리에서 전승되어 온 노래들이다. 성읍은 1423년부터 조선 말기까지 정의현(旌義縣)의 현청이 있던 곳으로, 현재는 성읍 민속마을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이 지역에서는 제주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밭을 매면서 부르는 소리, 맷돌을 돌리거나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는 소리, 마소를 이용하여 밭을 밟으며 부르는 소리 등 노동요가 전승되고 있고, 「행상 노래」「달구 소리」 등 장례 의식요도 전승되고 있다. 특히 관아가 있던 지역의 특성상 「산천초목」, 「봉지가」, 「동풍가」, 「질군악」, 「관덕정 앞」, 「계화타령」, 「사랑가」 등 가창요의 전승이 매우 활발하다.

제주민요로서 1989년 국가무형문화재 제95호로 지정된 노래로는 「맷돌 노래」, 「오돌또기」, 「산천초목」, 「봉지가」 등 4곡이다. 제주민요는 보유자로 지정된 조을선이 2000년 죽고, 2007년 보유자 후보인 이선옥이 죽은 뒤 전수조교 강문희가 전승에 힘을 쏟고 있다. 제주민요는 1989년 12월 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9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무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구성 및 형식]

제주민요는 육지의 경기소리제인 경토리에 가까운 것들이 있으나 시김새는 이와 다르다. 경기소리가 경쾌한 데 비하여 좀 구슬픈 편으로, 장단 없이 부르는 것이 많고, 굿거리장단과 같은 고정된 장단에 의하여 부르는 것도 이따금 있다.

[내용]

1) 「오돌또기」

「오돌또기」는 「흥부가」나 「가루지기 타령」 등에 삽입되었던 가요가 여러 경로를 통하여 제주도까지 전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육지에서 전래된 민요 중에서는 비교적 널리 퍼져 있는 민요이다.

2) 「산천초목」

「오돌또기」와 함께 육지에서 들어온 민요이다. 「산천초목」은 「흥부가」와 「가루지기 타령」의 첫머리인 “산천초목 성림한듸 귀경가기 질겁도다”와 가사가 비슷하게 전개된다. 조용하고 관조적으로 가창되는 민요로서, 가사는 산천초목에 대한 구경과 남녀간의 애정지사가 주종을 이룬다.

3) 「봉지가」

「봉지가」는 「산천초목」과 같은 산타령계 민요로서, 육지에서 들어와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남녀 간의 사랑과 함께 물레질과 관련한 내용이 가사의 주종을 이룬다.

4) 「맷돌 노래」

「맷돌 노래」는 제주도 토속 민요 중 여성들 사이에 가장 널리 퍼져 있는 대표적인 민요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여성들의 생활고와 시집살이의 고됨, 남편과의 갈등 등, 실생활의 모든 면면을 잘 표현해 주고 있는 민요로서, 제주민요로 지정된 4종의 민요 중 유일하게 제주도의 토속성이 담긴 진정한 의미의 제주민요이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제주 지역에서 불리는 민요는 일반적으로 일하면서 부르는 노동요가 많고 부녀자들이 부르는 민요가 흔하다는 점에서 주목되는데, 특이한 제주도 사투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한스러운 느낌을 푸념하듯 나타내어 색다른 정취를 자아낸다.

제주도에서는 부녀자들이 노래를 부를 때는 장구 대용으로 물 길러 다닐 때 쓰는 허벅을 두들기거나 물바가지인 태왁을 물 위에 띄워 놓고 장단을 맞추기도 한다. 이런 과정에서 제주 지역만의 향토적인 냄새가 나는 음색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