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01698 |
---|---|
한자 | 任憲大去思碑 |
영어음역 | Im Heondae Geosabi |
영어의미역 | Memorial Stone for Im Heonda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1동 395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홍순만 |
성격 | 거사비(去思碑) |
---|---|
건립시기/일시 | 미상 |
관련인물 | 임헌대(任憲大) |
재질 | 제줏돌 |
높이 | 50㎝ |
너비 | 33㎝[위]|30.5㎝[아래] |
소재지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1동 3957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1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제주목사를 지냈던 임헌대(任憲大)를 기리는 비.
임헌대는 무신이며 제주목사 겸 방어사로 1862년(철종 13) 2월에 부임하였다가 1863년(철종 14) 정월에 파직되었다. 임술민란(壬戌民亂)이 일어났을 때 축출당한 것이다. 민란 때 혹독한 곤욕을 치른 후 임헌대는 스스로 동헌(東軒)에서 물러나와 화북동 민가에 기거하면서 대죄(待罪)의 장계(狀啓)를 올렸다.
이듬해 1월 임헌대의 후임으로 임명된 정기원(鄭崎源) 방어사가 부임하여 난(亂)을 수습(收拾)하였지만 결국 임헌대는 민란의 책임을 지고 파직되었고, 초산부(楚山府)에 유배당하기까지 하였다.
귀부(龜趺) 받침에 세워져 있다. 비신(碑身)의 높이는 66㎝, 너비는 위가 33㎝, 아래가 30.5㎝, 두께는 위가 10㎝, 아래가 9.5㎝이며 귀부는 높이 50㎝, 앞 너비 75㎝, 옆 너비 60㎝인 제줏돌 비이다.
비 앞쪽에는 “목사임공헌대거사비(牧使任公憲大去思碑)”라 새겨져 있다.
임헌대는 임술민란이 일어났을 때 축출당한 제주목사였다. 민란으로 쫓겨난 제주목사의 비가 세워졌다는 것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임헌대 거사비에는 건립 연대나 세운 사람 등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으므로 언제 누가 세웠는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