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00248 |
---|---|
영어음역 | Gusil Jatbam Namu |
영어의미역 | 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
이칭/별칭 | 새불잣밤나무,구슬잣밤나무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식물(일반)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문홍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산굼부리 분화구에 분포하는 쌍떡잎식물 참나무과의 잣밤나무.
제주도 한라산 남쪽 계곡과 숲섬 등의 일부 섬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이다. 제주시 지역에서는 산굼부리 분화구 내에 분포하고 있으며, 제주시의 일부 지역에는 가로수로 심어져 있다.
높이 15m, 지름 1m까지 크게 자라는 나무로서, 가지는 흑회색이며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기로 나며, 넓은 타원형으로 끝이 짧고 뾰족하다. 6월에 단성화가 피는데 수꽃이삭은 새 가지의 윗부분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암꽃이삭은 밑 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수술은 15개, 암술대는 3개이다.
암수한그루로서, 수꽃은 꽃차례의 길이 8~12㎝로서 새로운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아래로 드리워지고 암꽃은 길이 6~10㎝로서 대부분 윗부분에 달린다. 열매는 총포로 싸여 있으며, 견과로 달걀 모양이다. 다음 해 10월에 익는다.
제주도에서는 해발 600m 이하의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라는 난대성 수목이며, 비교적 추위에도 잘 견디어 온대 지방에서의 식재도 가능하다. 종자로 증식이 가능하나 건조한 환경을 매우 싫어하며, 해충의 피해도 심하다.
따라서 자연적으로 떨어진 열매를 1주일 이내에 채집하여 물에 7일 정도 담가 두었다가 살충을 한 후 땅속에 묻거나 직접 파종한다. 저온 저장을 하였다가 봄에 파종하여도 된다. 다른 종자와는 달리 복토를 두껍게 하는 것이 좋다.
열매는 먹을 수 있고, 나무껍질은 고기 그물을 염색하는 데 사용된다. 목재는 건축재, 선박재, 버섯 재배를 위한 원목으로도 쓰이며, 농기구를 만드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정원수 및 가로수로 쓰이며, 방풍림 및 방화림으로 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