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남환박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1484
한자 南宦博物
영어음역 Namhwan Bangmul
영어의미역 The Chronicles of the Southern Provinc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동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인문지리지
관련인물 이형상(李衡祥)[1653~1733]
저자 이형상(李衡祥)[1653~1733]
간행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저술연도/일시 1704년연표보기
간행연도/일시 1978년연표보기
권수 1권
책수 1책
간행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소장처 완산이씨병와공파종회
소장처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문화재 지정일 1979년 2월 8일연표보기

[정의]

1978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인 이형상이 쓴 제주의 인문지리지.

[개설]

이형상(李衡祥)[1653~1733]은 조선 후기 숙종, 정조 때의 문신이자 국학자이며 실학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효령대군의 10대손으로 호는 병와(甁窩)·순옹(順翁)이다. 『남환박물(南宦博物)』은 1702년 3월부터 1703년 6월까지 제주목사를 역임한 뒤에 1704년 경상북도 영천의 호연정에서 기술한 제주도의 여러 가지 사항을 종합적으로 설명한 지방지(地方志)이다.

[편찬/발간경위]

『병와선생문집(甁窩先生文集)』에 실려 있는 것을, 1978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영인본으로 간행하였다.

[구성/내용]

『남환박물』은 조선시대의 일반 읍지와 많이 다르며, 백과전서식으로 되어 있다. 주요 내용은 제주도와 주변 도서 및 바다, 기후, 동식물 등에 관한 것이다. 저자는 기존의 읍지와는 달리 실지를 관찰하고 사실을 설명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관련 문헌을 검토하여, 사실과 다른 부분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구성은 읍호(邑號), 노정(路程), 해(海), 도(島), 후(候), 지(地), 승(勝) 등 37항목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제주의 명칭 유래와 자연 환경, 사적(史蹟), 인물, 풍속, 산물, 공물, 부역, 사당, 관방(關防), 행정 등에 관한 것으로 분류되어 있다. 예컨대 풍속을 다룬 「지속(誌俗)」에는 여다남소(女多男少), 사투리, 건조 농법에 의한 밭 경작, 장시(場市), 음사(淫祀)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남환박물』은 조선 숙종 당시의 제주 지역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알려 주는 지방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지** [상세정보] 부분 내용이 이상합니다.
남환박물 (南宦博物)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34-1호 2017.05.17 지정한 내용으로 수정해주세요.
참고: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답변
  • 본 항목은 보물 제652호로 지정된 이형상 수고본의 남환박물지를 대상으로 서술되었습니다. 이는 원고의 내용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정 요청하신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또다른 판본입니다. 이후 수정증보 사업시 추가 고려하겠습니다.
2020.09.2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