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2376
한자 秋夕
영어음역 Chuseok
영어의미역 Chuseok Festival
이칭/별칭 팔월 멩질,실 멩질,한가위,중추절,가배,가위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집필자 강정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명절|세시풍속
의례시기/일시 8월 15일[음력]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개설]

추석은 중추절·가배·가위·한가위라고도 부르는데, 제주시에서는 ‘팔월 멩질’ 또는 ‘실 멩질’이라고도 부른다. ‘멩질’은 명절의 제주 방언이다.

고대 사회의 풍농제에서 기원한 추석은 일종의 추수 감사절에 해당한다. 한 해의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로 명절 중에서 가장 풍성한 때이다. 그러나 제주 지역에서는 절기에 맞는 곡식과 과일이 드물어서 예부터 제물에는 그다지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지역에 따라 아침 일찍부터 일가친척의 집을 차례로 다니며 차례를 지내는 곳도 있고, 각자 집에서 차례를 지내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신라 유리왕(儒理王) 때 왕비가 6부(六部)의 여자들을 두 편으로 나누어 7월 기망(旣望: 음력 열엿새 날)부터 매일 뜰에 모여 밤늦도록 베를 짰다는 기록이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보인다. 8월 보름이 되면 그 동안의 성적을 가린 뒤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장만해 이긴 편에게 대접했는데, 이때 「회소곡(會蘇曲)」이라는 노래와 춤을 추며 놀았다. 고려시대는 물론이고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국가적인 행사로서 선대 왕에게 추석제(秋夕祭)를 지낸 기록이 보인다. 1518년(중종 13)에 설·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지정되었다.

제주 지역의 경우 예전에는 대부분의 제물이나 떡을 집에서 마련하였으나 근래 들어 시장이나 떡집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러나 설과 마찬가지로 아직까지 큰 변화는 없는 편이다.

[절차]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는 추석 차례를 지내기 전에 먼저 문전제를 지낸다. 문전제는 문을 지키는 문전신에게 지 제사이다.

추석 차례는 기제사(忌祭祀)와 동일한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초헌관(初獻官)이 분향을 하고 삼헌관(三獻官)이 함께 배례한 뒤 초헌(初獻)·아헌(亞獻)·종헌(終獻)을 올린 다음 다시 초헌관이 첨작을 한다. 잠시 쉰 뒤에 숭늉을 올리고, 이어 하직 배례를 하고 잡식을 하여 철상한 뒤 음복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얼마 전까지도 남자들의 경우 도포를 입고 유건을 쓰는 집이 많았지만 요즘에는 한복이나 개량 한복, 양복을 입는다. 영평동 가시나물마을에서는 추석빔으로 특별히 홑옷인 중의적삼을 만들어 입는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이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등의 문헌에 따르면, 제주 지역에서는 추석에 남녀노소가 한자리에 모여 노래와 춤을 즐기고, 아울러 두 패로 나뉘어 조리희(照里戱)라는 놀이를 했다고 한다. 조리희는 곧 줄다리기를 말한다. 또한 그네를 뛰고 포계지희(捕鷄之戱)라는 닭잡기 놀이도 했다고 전한다.

제주 지역에서는 요즘도 추석이면 여러 지역에서 마을 대항 체육대회가 열리는데, 조리희와 같은 민속놀이는 사라지고 없지만 윷놀이나 씨름, 줄다리기 등으로 공동체 의식을 나누고 있다.

제주시 노형동에서는 추석에도 날씨점을 쳤는데, 추석에 비가 오면 보리농사가 안 된다고 믿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