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1640
한자 李漢雨
영어음역 Yi Hanu
이칭/별칭 차문(次文),매계(梅溪),이한진(李漢震)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촌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상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인
출신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촌리
성별
생년 1823년(순조 23)연표보기
몰년 1881년(고종 18)연표보기
본관 전주

[정의]

조선 후기 제주 출신의 문인.

[가계]

본관은 전주. 자는 차문(次文), 호는 매계(梅溪). 초명은 이한진(李漢震)이다. 아버지는 이신구(李信九)이며 어머니는 김해김씨 김덕하(金德河)의 딸이다.

[활동사항]

아버지가 마을에서 서당을 열었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쉽게 공부를 할 수 있었다. 향시에 합격하여 여러 차례 전시에 응시하였으나 이미 부패할 대로 부패하여 시골 선비가 급제할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 결국 과거를 포기하고 귀향하였다.

고향에서 독서에 몰입하여 천문·산경·지리·병서 등에 통달하였으며 특히 시에 능하였다. 1853년(철종 4) 제주목사 목인배(睦仁培)이한우의 글을 보고 ‘남국산두(南國山斗: 남국의 태산이요 북두칠성)’라고 극찬하였다.

당시 유배와 있던 김정희(金正喜)와 제주 문인 오태직(吳泰稷)·김용징(金龍徵) 등과 교유하였고, 안달삼(安達三)·김희정(金羲正)·이계징(李啓徵)·고영흔(高永昕) 등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제주에서 경관이 뛰어난 10곳을 선정하여 ‘영주십경(瀛洲十景)’이라 하고 시로 읊었다.

이한우는 현실에 무감각한 유생은 아니었다. 1862년(철종 13) 진주에서 대규모 민란이 일어나 조정에서 삼정책문(三政策問)을 전국에 내리자 이한우도 삼정책(三政策)을 올렸다.

이한우는 삼정책에서 “세금 거두는 것이 한도가 없어 백성은 편안히 살지 못하고 마을이 피폐해져 비게 되었고 밭에 소나무가 서 있어도 세금을 걷고, 수확이 전혀 없어도 걷는데, 한 줌이나 한 묶음이냐 하는 것은 오로지 아전의 붓끝에 맡겨지며, 결수를 숨기거나 더하여 걷는 세금의 반이 관리들 주머니로 들어가며, 정리로 주는 뇌물은 해마다 들어 마침내 고질이 되어버렸다”라고 하여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제주에서 1862년 10월 강제검(姜悌儉)·김흥채(金興采) 등이 민란을 일으키자 1863년(철종 14) 창의 격문을 지어 유림에게 돌려 자신의 충의를 세상에 알렸다. 1873년(고종 10) 제주에 유배된 최익현(崔益鉉)과 만나 우국충정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기도 하였다.

[저술 및 작품]

『매계선생문집(梅溪先生文集)』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31년 매계선생유적비(梅溪先生遺蹟碑)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촌리 1828번지[신북로 51]에 있는 신촌초등학교 정문 입구에 세워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