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448
한자 東邊洞
영어공식명칭 Dongbyeon-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경상북도 달성군 성북면 동변동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경상북도 달성군 성북면 동변동에서 경상북도 대구시 북구 동변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1년 - 경상북도 대구시 북구 동변동에서 대구직할시 북구 동변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대구직할시 북구 동변동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으로 개편
성격 법정동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동변동(東邊洞)은 대구광역시 북구 법정동 31개 중 하나이다.

자연 마을로는 오빠꼴[오빠꼴, 오빡골, 오빠골], 장자골[장자꼴], 추자골[수자골], 화담마을[불담골] 등이 있다. 장자골은 백만장자 부자인 최 진사가 살았던 곳이라 하여 유래되었다. 화담마을은 화담산 기슭과 금호강이 맞닿은 곳에 봄철 진달래, 벚꽃, 개나리가 만개하여 금호강 수변에 비친 모습이 마치 꽃밭소(沼)와 같다 하여 화담(花潭)이 유래되었고 부근에 사는 사람들의 마을을 ‘화담마을’이라 하였다. 과거에는 연못도 있었고 사찰도 있어 ‘불담골[佛潭谷]‘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명칭 유래]

팔공산(八公山)[1,192m]에서 발원하여 동화사(桐華寺) 일대를 거쳐 흐르는 동화천의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명칭이 유래하였다. 동화천을 중심으로 동쪽은 동변동, 서쪽은 서변동, 즉 무태 지역이다.

[형성 및 변천]

본래 대구부 동하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달성군 성북면으로 소속되었다. 1963년 대구시 북구 동변동이 되었다. 행정구역 명칭 변경으로 1981년 대구직할시 동구 동변동이 되었고, 1995년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이 되었다. 동변동은 법정동이고 행정동은 무태조야동이다.

[자연환경]

학봉[278.3m]과 화담산[204.4m] 일대는 중생대 백악기 신라통의 학봉분암층으로 휘석반암 또는 각섬석휘석반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단단하다. 또한 동화천 변에 가까운 산기슭에도 백악기 하양층군의 신라역암이 분포하고 있어 암석이 단단하다. 동화천 변은 사력퇴적물과 이토로 이루어져 있어 비교적 비옥하다.

[현황]

동변동은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연경동·지묘동·검단동·산격동 등지와 경계를 이룬다. 동변동 지역 대부분은 학봉과 화담산 등의 낮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서쪽은 동화천, 남쪽은 금호강으로 둘러싸여 있어 접근성이 떨어진다. 동화천 변과 동변동 남서쪽에 2000년대에 들어선 아파트 단지가 마을 경관을 주도한다.

대구동변초등학교가 유일한 교육기관이다. 금호강을 따라 동변동 안쪽으로 들어가면 축사가 있다. ‘금호강 환경개선 사업’ 일환으로 화담공원과 탐방로가 조성되었다. 동화천 일대에 연경동 택지 조성을 통하여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완공되었으며, 2021년 현재 대구 4차 순환선이 개설 중이다.

유적으로 초기 철기시대 유물과 삼국시대 고분이 발굴되었다. 보호수로 조선 철종 재위 시 심은 수령 150년의 왕버들나무와 수령 500년의 느티나무가 있다. 조선시대 유교 유적으로는 능성구씨(綾城 具氏) 좌정승파의 재실인 화수정(花樹亭)이 산기슭에 위치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