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084
영어공식명칭 Buyeogun Family Center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아름1로 64[오수리 52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순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08년 3월연표보기 - 부여군 가족센터 부여군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로 설립
개칭 시기/일시 2009년연표보기 - 부여군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에서 부여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9년연표보기 - 부여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부여군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개칭
이전 시기/일시 2020년 12월 - 부여군 가족센터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692-1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오수리 522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2021년 10월연표보기 - 부여군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부여군 가족센터로 개칭
최초 설립지 부여군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사비로 32[동남리 692-1]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여군 가족센터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아름1로 64[오수리 522]
현 소재지 부여군 가족센터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아름1로 64[오수리 522]지도보기
성격 사회 복지 기관
설립자 부여군청
전화 041-830-2900
홈페이지 https://buyeo.familynet.or.kr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오수리에 있는 가정 복지 지원 기관.

[개설]

부여군 가족센터는 여성가족부로부터 지정받아 부여군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문 지원 기관이다. 가족관계·돌봄·생활, 가족과 함께하는 지역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설립 목적]

부여군 가족센터는 가족 모두가 평등하고 행복한 사회, 희망과 꿈을 키우는 정직한 사회, 아름다운 삶을 이루는 건강한 사회 건설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부여군 가족센터는 2008년 부여군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로 설립하였다. 2009년 「다문화가족지원법」에 의거하여 부여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이름을 바꾸었다. 2019년 부여군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2021년 10월 부여군 가족센터로 이름을 바꾸었다.

2020년 12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오수리 522에 신축된 부여군 가족행복센터 건물에 입주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여군 가족센터는 결혼 이주 여성의 사회 참여와 적응을 돕기 위하여 다문화 가족 통·번역 지원 서비스, 찾아가는 결혼 이주 여성 정착 지원 패키지 서비스 등을 주력으로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가족 친화 문화 조성 사업과 가족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세부 프로그램으로는 한국어 국적 취득반 운영, 아동기 부모 교육 자조 모임 활성화 사업 등이 있다. 또한 공동 육아 나눔터를 운영함으로써 육아 정보 공유에 도움을 주고 있고, 놀잇감 및 도서 대여 사업도 하고 있다.

[현황]

부여군 가족센터부여군청에서 백제교를 건너 백제문로를 따라 오르다 보면 오수리 노인회관을 지나 자리하고 있다.

조직은 2개 센터와 1개 과로 구성되어 있다. 2개 센터는 가족 상담 및 집단 상담을 담당하는 가족센터와 베트남 통·번역 지원 사업 및 언어 발달 지원 사업을 담당하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고, 건강 사업을 담당하는 가족행복과가 있다. 센터장 포함 총 11명이 근무하고 있다.

2022년 현재 부여군 거주 결혼 이주 여성 중 총 899명이 부여군 가족센터를 이용하고 있다. 결혼 이주 여성의 국적별 현황은 2022년 7월 현재 베트남 206가구, 중국 111가구, 필리핀 87가구, 캄보디아 37가구, 일본 30가구, 태국 10가구, 우즈베키스탄 8가구 순이다.

[의의와 평가]

부여군 가족센터는 결혼 이주 여성의 지역 사회 정착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사회 공동체 형성에 일조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여군 가족센터(https://buyeo.familynet.or.kr)
  • 인터뷰(부여군가족센터 사무원, 2022. 7. 14.)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