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587
한자 蔚城山城
영어공식명칭 Ulsung Mountain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신리 843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최병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울성산성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신리 843 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테뫼식
크기(높이,길이,둘레) 약 350m[전체 둘레]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신리에 있는 백제 시대 산성.

[개설]

울성산성(蔚城山城)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신리부여 왕흥사지 뒤편에 있다. 야산 정상부에 축조된 테뫼식 토축산성이다. 남쪽 경사면 말단부에 왕흥사지가 있고 금강을 두고 부소산성과 마주한다. 사비도성으로 근접하는 북서쪽 일원의 길목을 방어하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의 “660년(무열왕 7) 11월 5일 왕이 직접 계탄을 건너 왕흥사잠성을 공격하였는데 7일째에 이기고 700명을 참수하였다”라는 기록에서 왕흥사잠성울성산성으로 비정된다.

[위치]

울성산성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신리 843번지에 있다. 북쪽의 합정리와 남쪽의 신리를 경계 지으며 동서 방향으로 뻗어나간 야산의 정상부[높이 113m]에 있다.

[형태]

울성산성은 세 갈래로 뻗어 나간 능선 선상부를 포함하여 평면은 동서 방향이 길쭉한 타원형에 가깝다. 북쪽은 완만하게 굽이지는 경사면 중상단부를 감싸고 있어 살짝 굴곡진 형태이다. 전체 둘레는 약 350m이다.

성벽은 경사면이 비교적 완만한 북쪽과 서쪽에서 확인된다. 특히 북벽 구간은 경사면 위에 흙으로 쌓은 현황이 관찰된다. 동쪽과 남쪽은 급한 경사면을 이루는데, 특히 남쪽은 성벽을 축조하지 않고 암벽 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성내로 진입하는 서남쪽 성벽 일부는 돌출되었는데, 흙으로 쌓은 부분과 석재로 쌓은 부분이 동시에 확인된다. 성벽 외부에서 백제 기와 및 토기편 등이 확인된다.

[의의와 평가]

울성산성사비도성을 방어하는 주요 시설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