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52
한자 鴻山鄕校
영어공식명칭 Hongsan Local Confucian School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내로21번길 61[교원리 233]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축|증축 시기/일시 1591년 - 홍산향교 중건
훼철|철거 시기/일시 1597년 - 홍산향교 소실
개축|증축 시기/일시 1610년 - 홍산향교 중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663년 - 홍산향교 명륜당·동재·서재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669년 - 홍산향교 대성전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778년 - 홍산향교 대성전·내외삼문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786년 - 홍산향교 양사재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827년 - 홍산향교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845년 - 홍산향교 동재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884년 - 홍산향교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01년 - 홍산향교 동재·서재·전사청·외삼문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22년 - 홍산향교 전사청 개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32년 - 홍산향교 명륜당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51년 - 홍산향교 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63년 - 홍산향교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8년 - 홍산향교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2년 - 홍산향교 명륜당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4년 - 홍산향교 향교 중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97년 12월 23일연표보기 - 홍산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28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홍산향교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홍산향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내로21번길 61[교원리 233]지도보기
성격 향교
양식 홑처마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대성전]|5칸[명륜당]
측면 칸수 3칸[대성전]|2칸[명륜당]
소유자 충청남도향교재단
관리자 홍산향교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에 있는 조선 시대 향교.

[개설]

홍산향교(鴻山鄕校)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에 있는 조선 시대 공립 교육 기관이다. 건립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조선 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고, 홍산현 북쪽 3리에 있었다고 한다. 1643년 유림 홍처윤이 향교가 너무 높은 곳에 있어 불편하므로 아래 평평한 곳에 고쳐 지었다고 전한다. 홍산향교는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2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위치]

홍산향교는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내로21번길 61[교원리 233]에 있다.

[변천]

홍산향교는 1591년(선조 24) 관찰사 이성중이 중건하였으나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으로 향교가 소실되었다. 일화에 따르면 이몽학의 난 이후 현재 자리로 옮겨 지은 것이라고 전한다. 1610년(광해군 2) 이덕기가 중건하였고 1663년(현종 4) 유림 윤상거가 명륜당, 동재, 서재를 중수하였다. 1669년(현종 1) 대성전을 고쳐 건립하였다. 지역 여론이 문묘를 중창하기를 바랬기 때문에 수령과 감사에게 글을 올리고 왕이 윤허하였다고 한다. 1778년(정조 2) 유림 홍문호가 대성전과 내외삼문을 중수하였다. 1786년(정조 10) 홍산현감 이정인이 부임하여 향교에서 선비들을 모아 회합을 하고 매월 설강(設講)하여 관청의 경비로 선비를 접대하고 곡식 40석을 내어 이자로 양사재를 건립하며 논 50두락을 매입하여 활용하도록 하였다. 1827년(순조 27) 홍산현감 이최재가 관에서 비용을 대고 향교에서 재물을 모아 중수를 하였다. 1845년(헌종 11) 홍산현감 송정희가 고을 선비와 함께 향교에 모여 동재를 세우고 문묘를 일신하도록 하였다.

1884년(고종 21) 향교를 중수하였다. 1901년(고종 27) 동재, 서재, 전사청, 외삼문을 중수하였다. 1904년(고종 30) 전답을 구입하여 이자로 향교 비용을 감당하였다. 1922년 전사청을 개축하였다. 1932년 명륜당을 중수하였다. 1951년 대성전을 중수하고 1963년과 1978년 각각 향교 전체를 중수하였다. 1982년 명륜당을 중수하고 1984년 향교를 중수하였다.

[형태]

홍산향교는 좌우로 낮은 언덕이 감싸고 있다. 홍살문울 들어서면 외삼문, 명륜당, 대성전이 중심축을 따라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배치 형태는 강학 공간인 명륜당을 전면에 두고, 대성전을 뒤쪽 높은 구릉에 둔 전학후묘식 배치이다. 외삼문 주변에는 별도의 담장을 두지 않았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이며 홑처마 맞배지붕에 1고주 5량집 구조이다. 주춧돌은 자연석을 대강 다듬어 만든 덤벙주춧돌이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이며 무고주의 5량집 구조이다. 주춧돌은 대성전과 같은 덤벙주춧돌이다. 외삼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솟을삼문이며, 내삼문과 동일하다.

[현황]

홍산향교는 대성전에 5성, 송조 4현, 우리나라 18현 등 27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上丁日)에 석전제를 지낸다. 봄가을 석전에서는 매회 80여명 정도 참여한다. 매월 삭망의 분향제에서는 전교와 장의 두 사람이 예를 행한다. 장의는 순서를 정하여 매월 1명씩 윤번으로 담당한다. 향사에 참여하는 대표적인 성씨는 조선 시대 이래 향교를 출입하여 온 연안 이씨, 광산 김씨, 창령 조씨 등이다.

[의의와 평가]

홍산향교는 조선 시대 관학 기관으로 옛 홍산 지역의 교육과 교화를 위한 중심 기능을 담당하였다. 조선 시대 홍산현 지역 사족들의 동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