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20
한자 退修書院
영어공식명칭 Bansanseowon confucian academy
이칭/별칭 반산서원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충절로1001번길 24[만사리 19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인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57년연표보기 - 퇴수서원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8년 - 퇴수서원 훼철
개축|증축 시기/일시 1957년 - 퇴수서원 중창
이전 시기/일시 1966년 - 퇴수서원 이전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퇴수서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1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퇴수서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퇴수서원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퇴수서원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충절로1001번길 24[만사리 191]지도보기
성격 서원
양식 겹처마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3칸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만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개설]

퇴수서원(退修書院)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만사리에 있는 석곡(石谷) 조박(趙璞)[1577~1650]을 주향으로 하고 성강(星江) 조견소(趙見素)[1610~1677]와 퇴수재(退修齋) 조성복(趙聖復)[1681~1723]을 배향한 서원이다. 조박은 광해군과 인조 때 부여현감, 양주목사 등을 역임하고 통정대부가 되었다. 조견소조박의 아들로 동몽교관, 금구현령 등을 지냈다. 조성복은 지평, 정언, 장령, 집의 등을 역임하였다. 조성복이 집의로 재직 시 경종에게 세제[영조]의 대리청정을 요구하는 소를 올려 노론 측의 지지를 받아 결정되었으나 소론 측이 무군부도(無君不道)의 죄로 몰아 의금부에서 국문을 받고 정의에 위리안치되었다. 1723년 다시 잡혀 와 옥중에서 사망하였다. 영조 즉위 후 조성복은 복관되고 1755년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충간(忠簡)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퇴수서원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위치]

퇴수서원은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충절로1001번길 24[만사리 191]에 있다. 북쪽으로 부여전자고등학교가 있다.

[변천]

1757년(영조 33) 지방 유림의 공론으로 부여군 세도면 동사리 동곡에 서원을 세우고 조성복의 호 퇴수재를 따 ‘퇴수서원’이라 하였다. 퇴수서원은 1868년(고종 5) 훼철되었다가 1957년 지역 유림의 발의로 원래 위치에 사우를 중창하였다. 1966년 지역 유림의 공론으로 반산으로 이건하고 조박조견소를 추가 배향하였다. 3인을 배향하면서 조박이 주향이 되었다. 주향이 바뀌면서 서원의 이름도 서원이 있던 반산의 이름을 따서 반산서원으로 고쳤다.

[형태]

퇴수서원은 사우와 묘문으로 되어 있다. 사우인 ‘충의사(忠義祠)’는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로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고 묘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솟을삼문이다.

[현황]

퇴수서원은 매년 음력 3월 상정일(上丁日)에 춘향제를 지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퇴수서원은 본래 조성복을 배향한 서원이었으나 이후 증조할아버지 조박을 주향으로 하고 할아버지 조견소를 배향하였는데, 가족 윤리를 중시하였음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