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83
한자 扶餘警察署
영어공식명칭 Buyeo Police Station
이칭/별칭 제3관할 경찰청 제12구 경찰서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성말로 4[동남리 588-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19년 10월 9일연표보기 - 부여경찰서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45년 10월 21일연표보기 - 부여경찰서에서 제3관할 경찰청 제12구 경찰서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8년연표보기 - 제3관할 경찰청 제12구 경찰서에서 부여경찰서로 개칭
이전 시기/일시 1990년 12월 26일 - 부여경찰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588-2로 이전
최초 설립지 부여경찰서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여경찰서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성말로 4[동남리 588-2]
현 소재지 부여경찰서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성말로 4[동남리 588-2]지도보기
성격 공공 기관
전화 041-830-9353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부여군 관할 치안 행정 기관.

[개설]

부여경찰서(扶餘警察署)는 충청남도 부여군 지역의 치안과 부여 군민의 안전을 위하여 설립된 충청남도경찰청 산하 경찰서이다.

[설립 목적]

부여경찰서는 부여 군민의 생명과 신체, 재산 보호, 범죄의 예방과 수사, 치안 정보의 수집, 교통 단속과 같은 부여군 내 공공의 질서 유지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부여경찰서의 전신은 1919년 10월 9일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에 설립된 일제 강점기 경찰 기관이다. 해방 직후 미군정의 조치에 따라서 1945년 10월 국립경찰이 창설되었고 부여경찰서는 제3관구 경찰청 제12구 경찰서로 개칭되었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자 부여경찰서로 다시 개칭되었다.

1978년에는 2개 파출소 15개 지서를 관할하였고 2000년에는 치안 수요 인력 재배치에 따라 17개 파출소를 13개 파출소로 줄였다. 2003년에는 직제 개편으로 13개 파출소를 3개 지구대로 변경하였다. 2022년 현재 1개 지구대, 8개 파출소, 7개 치안센터로 운영되고 있다.

1990년 12월 26일에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588-2에 대지면적 7,933.88㎡, 건평 3,474.38㎡의 3층 청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여경찰서는 부여군 지역의 치안을 확보하고, 부여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사, 방범, 순찰, 교통 질서 확립과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황]

부여경찰서는 청문감사인권관실과 112치안종합상황실의 2실, 경무과, 생활안전과, 수사과, 경비교통과, 정보안보외사과의 5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백강지구대의 1지구대와 규암파출소·은산파출소·구룡파출소·외내산파출소·홍산파출소·임천파출소·세도파출소·석성파출소의 8개 파출소, 초촌치안센터·옥산치안센터·충화치안센터·양화치안센터·장암치안센터·남면치안센터·내산치안센터의 7개 치안센터라는 하부 조직을 두고 있다.

2021년 현재 자료에 의하면 보유하고 있는 순찰차는 백강지구대 2대, 규암파출소 2대, 석성파출소 1대, 홍산파출소 1대, 세도파출소 1대, 구룡파출소 1대, 은산파출소 1대, 임천파출소 1대, 외내산파출소 1대로 총 11대이며, 경찰 1인당 담당 주민 인원은 326명이다.

[의의와 평가]

부여경찰서는 부여군 관내의 치안 유지와 부여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여군지』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3)
  • 충청남도경찰청(https://www.cnpolic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