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97
한자 姜鎔求
영어공식명칭 Kang Yonggu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6년연표보기 - 강용구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16년 - 강용구 수원농림학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19년 - 강용구 간도 화룡현 동명학교 교사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20년 - 강용구 북로군정서 경신국장 역임
몰년 시기/일시 1970년연표보기 - 강용구 사망
출생지 장하리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수원농림학교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로 89[서둔동 103-2]
활동지 화룡현 - 중국 지린성 허룽현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북로군정서 경신국장

[정의]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계]

강용구(姜鎔求)[1896~1970]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버지는 대종교 원로이자 독립운동가인 강석기(姜錫箕)이고, 형은 강진구(姜鎭求)·강철구(姜鐵求)이다.

[활동 사항]

강용구는 1896년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에서 태어났다. 1916년 수원농림학교를 졸업하고 홍산공립보통학교[현 홍산초등학교] 교사로 3년간 재직하며 공산주의자협의회를 주도한 이호철(李戶喆) 등을 가르쳤다. 1919년 만주로 건너가 간도 화룡현 동명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고, 1920년에는 북로군정서 경신국장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 북로군정서에 활동하던 형 강철구는 고향 부여로 돌아온 뒤 군자금을 마련하여 서무부장인 김택(金鐸)에게 전달하였다. 1922년 6월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발행 공채 3만 5000원의 문서를 가지고 입국하여 강용구의 집을 거점으로 동지를 확보하고 부호들의 가택을 방문하여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이후 강철구는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고, 1923년에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강용구는 광복 이후 1955년 대종교 정교(正敎)로 승진하며 ‘대형(大兄)’이란 호를 받았다. 이후 원로원 참의, 대덕, 대일각 전교 등의 직책을 맡아 대종교 발전에 힘쓰다가 1970년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