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12
한자 鄭彦郁
영어공식명칭 Jeong Eonuk
이칭/별칭 사문(士文),퇴어(退漁)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13년연표보기 - 정언욱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41년 - 정언욱 식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46년 - 정언욱 『승정원일기』 개수
활동 시기/일시 1750년 - 정언욱 공조좌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66년 - 정언욱 사간원정언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70년 - 정언욱 사헌부지평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71년 - 정언욱 이조좌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73년 - 정언욱 강동현감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85년 - 정언욱 승정원동부승지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86년 - 정언욱 공조참의 역임
몰년 시기/일시 1787년연표보기 - 정언욱 사망
출생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부임|활동지 강동 - 북한 평안남도 강동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동래(東萊)
대표 관직 공조참의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정언욱(鄭彦郁)[1713~1787]의 본관은 동래(東萊)이며, 자는 사문(士文), 호는 퇴어(退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유석(鄭有錫)이고, 할아버지는 정관주(鄭觀周)이다. 아버지는 정용서(鄭龍瑞)이고, 어머니는 권이정(權以廷)의 딸 안동 권씨(安東權氏)이다. 부인은 심우적(沈禹績)의 딸 청송 심씨(靑松沈氏)이다.

[활동 사항]

정언욱은 1713년(숙종 39) 부여에서 태어나 1741년(영조 17)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승문원의 부정자를 거쳐 사변가주서를 지냈고, 1746년에는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개수 과정에 참여하였다. 1749년 성균관전적을 거쳐 1750년 공조좌랑을 지냈고, 1766년 사간원정언, 1770년 사헌부지평, 1771년 이조좌랑 등을 지냈다. 1772년 사헌부장령·사간원헌납·종부시정을 지냈고, 1773년 강동현감으로 부임하였다.

정언욱은 1780년(정조 4) 사간원헌납과 사헌부지평을 역임하였고, 1783년에는 사간원헌납으로 있으면서 화완옹주(和緩翁主)의 출륙(出陸)이 부당함을 논하였다. 이후 사헌부장령을 거쳐 1785년 승정원동부승지에 발탁되었고, 1786년 공조참의가 되었으나 이듬해인 1787년(정조 11) 사망하였다.

[묘소]

정언욱의 묘소는 부여 오산(烏山)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