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98
한자 李鳳鳴
영어공식명칭 Lee Bongmyeong
이칭/별칭 방서(邦瑞),구포(九苞)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호암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82년연표보기 - 이봉명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08년 - 이봉명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723년 - 이봉명 증광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24년 - 이봉명 동학훈도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24년 - 이봉명 김일경과 조태억을 비판하다 평안도 양덕으로 유배
활동 시기/일시 1725년 - 이봉명 성균관전적·예조좌랑·병조좌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27년 - 이봉명 경상도 도사·전라도 도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27년 - 이봉명 과거 시험에 부정을 저질렀다고 양덕으로 유배
활동 시기/일시 1729년 - 이봉명 성균관전적·예조정랑·고성현령·어천찰방 역임
몰년 시기/일시 1746년연표보기 - 이봉명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84년 - 이봉명 예조참의 추증
출생지 호암리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호암리 지도보기
부임|활동지 고성 - 경상남도 고성군
유배|이배지 양덕 - 북한 평안남도 양덕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서천(舒川)
대표 관직 고성현령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이봉명(李鳳鳴)[1682~1746]의 본관은 서천(舒川)이며, 자는 방서(邦瑞), 호는 구포(九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익형(李益亨)이고, 할아버지는 이석빈(李碩賓)이다. 아버지는 이현(李玹)이고, 어머니는 최송수(崔松秀)의 딸 탐진 최씨(耽津 崔氏)이다. 부인은 심량(沈樑)의 딸 청송 심씨(靑松 沈氏)이다.

[활동 사항]

이봉명은 1682년(숙종 8) 부여 홍산(鴻山)의 호암리(虎巖里)[현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호암리]에서 태어났다. 1708년(숙종 34) 진사시에 합격한 뒤 성균관에 들어갔고, 동료들과 함께 윤증(尹拯)에게 내린 시호 삭제와 윤증을 제향하는 서원 훼철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렸다. 1721년(경종 1)에는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연잉군(延礽君) 왕세제 책봉을 비난한 유봉휘(柳鳳輝)·이진검(李眞儉) 등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몇 차례 올렸다가 귀향 처분을 받았다.

이봉명은 1723년 증광시 문과에 급제한 뒤 1724년에 동학훈도가 되었다. 1724년(영조 즉위년)에는 소론 김일경(金一鏡)·조태억(趙泰億) 등의 죄를 통렬히 비판하였다가 평안도 양덕(陽德)으로 유배되었다. 1725년 유배에서 풀려난 뒤 승정원가주서, 의정부사록과 부사정, 성균관전적, 예조좌랑, 병조좌랑 등을 지냈다. 1727년 경상도도사를 거쳐 전라도도사와 해운판관을 겸하다가 과거(科擧)에 부정을 저질렀다고 파직되어 양덕으로 다시 유배되었다. 1729년 석방된 뒤 부사직과 성균관전적, 예조정랑, 고성현령, 어천찰방 등을 역임하였다. 1731년 영조(英祖)의 어제시(御製詩)에 화답하는 시를 지어 올려 칭찬을 받고 「군신제회도(君臣際會圖)」 족자를 하사받기도 하였다. 이봉명은 1746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봉명의 저술로는 『구포유고(九苞遺稿)』 3권 1책이 있다.

[상훈과 추모]

이봉명은 1784년(정조 8) 예조참의에 추증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