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90
한자 柳東發
영어공식명칭 Yu Dongbal
이칭/별칭 진백(震伯)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09년연표보기 - 유동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36년 - 유동발 별시 무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41년 - 유동발 칠원현감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45년 - 유동발 안동판관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46년 - 유동발 의금부도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52년 - 유동발 결성현감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53년 - 유동발 거제현령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56년 - 유동발 강화도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58년 - 유동발 자산군수 부임
출생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부임|활동지 칠원 - 경상남도 함안군
부임|활동지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부임|활동지 거제 - 경상남도 거제시
부임|활동지 결성 -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부임|활동지 강화 - 인천광역시 강화군
부임|활동지 자산 - 평안도 자산
성격 무신
성별 남성
본관 문화(文化)
대표 관직 자산군수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무신.

[가계]

유동발(柳東發)[1609~?]의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자는 진백(震伯)이다. 아버지는 유계춘(柳繼春)이고, 형은 유동수(柳東秀)이다. 부인은 이숙(李潚)의 딸이다.

[활동 사항]

유동발은 1609년(광해군 1) 부여에서 태어나 1636년(인조 14) 별시 무과에 급제하였다. 1641년 칠원현감을 거쳐 1645년 안동판관으로 부임하였고, 1646년 의금부도사가 되었다. 1652년(효종 3) 결성현감, 1653년 거제현령이 되었으나 1654년 어머니가 사망하여 삼년상을 치렀다.

1656년 강화도사로 관직에 복귀하였고, 1658년 훈련원첨정을 거쳐 자산군수에 임명되었다. 1664년(현종 5)에는 유병연(柳炳然)·성진문(成震炆)·홍중형(洪重亨)·신명전(申命全)·한여윤(韓汝尹) 등과 함께 장령(將領)에 적합한 자로 선발되었다. 유동발유동발과 같이 선발된 관원들은 불차탁용(不次擢用)[계급의 차례를 밟지 않고 특별히 벼슬에 등용함]의 특전을 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