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부산서원 고문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21
한자 浮山書院 古文書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문헌/문서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4년 12월 22일연표보기 - 부산서원 고문서 충청남도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68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4년 9월 1일연표보기 - 부산서원 고문서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20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부산서원 고문서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부산서원 고문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지정
소장처 정림사지박물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정림로 83[동남리 364]지도보기
성격 고문서
관련 인물 김집|이경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진변리에 있는 부산서원과 관계된 조선 시대의 고문서.

[개설]

부산서원(浮山書院)은 인조(仁祖)[1595~1649]·효종(孝宗)[1619~1659] 연간에 관료이자 문인으로 활동한 김집(金集)[1574~1656]과 이경여(李敬輿)[1585~1657]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719년(숙종 45)에 부여 지역 유림들의 공론에 의하여 창건된 서원이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1820~1898]의 서원 철폐령으로 인하여 훼철되었다가 1977년에 복원되었다. 부산서원과 관련한 고문서는 서원 창건에 참여한 인사들의 명단, 부산서원의 역대 임원들의 명단, 부산서원 규약·절목·전답안 등이 있다. 부산서원 고문서는 2004년 12월 22일 충청남도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6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9월 1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20호로 승격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부산서원 고문서는 현재 부여 정림사지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다.

[제작 발급 경위]

부산서원 고문서는 서원 창건 및 운영을 위하여 작성한 문서이다. 서원 창건 및 운영에 참여한 인사들의 명단을 남기고, 서원 내 규약을 정하여 두기도 하였다. 또한 서원의 재정 운영과 관련하여 토지 및 노비에 대한 장부를 작성하였다. 한편으로 충청감영(忠淸監營)에서 부산서원에 발급한 절목도 남아 있다.

[형태]

부산서원 고문서는 고문서와 고문헌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규격은 각 고문서의 양식에 따라 다양하다.

(1) 『부산서원 창건소제명록(浮山書院 刱建所題名錄)』은 저지(楮紙) 재질의 필사본이고, 가로 25㎝, 세로 34㎝의 가철(假綴)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9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2) 『부산서원 중수소제명록(浮山書院 重修所題名錄)』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32.3㎝, 세로 29㎝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27㎝, 세로 26㎝의 선장(線裝)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10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3) 『부산서원 사적(浮山書院 事蹟)』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가로 22㎝, 세로 32.5㎝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10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4) 『부산서원안(浮山書院案)』 1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25㎝, 세로 35.5㎝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22㎝, 세로 26㎝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1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산서원안』 2는 저지(楮紙)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23.0㎝, 세로 33.5㎝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19.0㎝, 세로 22.5㎝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5) 『부산서원 규약(浮山書院 規約)』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가로 21.5㎝, 세로 31.5㎝의 가철 형태로 제작되었다. 표지는 없으며, 1책 9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6) 『부산서원 완문(浮山書院 完文)』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가로 26㎝, 세로 40㎝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4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7) 『부산서원 절목(浮山書院 節目)』 1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가로 24.5㎝, 세로 42㎝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6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산서원 절목』 2는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21.5㎝, 세로 35.5㎝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18㎝, 세로 28.5㎝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6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8) 『부산서원 완문 절목(浮山書院 完文 節目)』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가로 44㎝, 세로 28㎝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9) 『부산서원 서재 유안(浮山書院 西齋 儒案)』 1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32.5㎝, 세로 26㎝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23㎝, 세로 22.5㎝의 가철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산서원 서재 유안』 2는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가로 38.5㎝, 세로 28.5㎝의 가철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산서원 서재 유안』 3은 장지(壯紙)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26㎝, 세로 32.5㎝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22.5㎝, 세로 23㎝의 가철 형태로 제작되었다. 『부산서원 서재 유안』 4는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가로 26㎝, 세로 32㎝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0) 『부산서원 유안(浮山書院 儒案)』은 내책과 외책, 2책이 합철되어 있다. 내책과 외책 모두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가로 26㎝, 세로 30.5㎝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각각 1책 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1) 『부여현 부산서원 원생 정묘□□안(扶餘縣 浮山書院 院生 丁卯□□案)』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24㎝, 세로 27㎝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24㎝, 세로 23.5㎝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4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2) 『부산서원 전민안(浮山書院 田民案)』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35㎝, 세로 22㎝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29㎝, 세로 19㎝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8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3) 『부원 전곡문서(浮院 典穀文書)』는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가로 22㎝, 세로 33.5㎝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1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4) 『부산서원 양연보안(浮山書院 良煙保案)』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26.5㎝, 세로 22.5㎝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24㎝, 세로 17㎝의 가철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5) 『심원록(尋院錄)』 1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40㎝, 세로 26㎝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35㎝, 세로 22.5㎝의 가철 형태로 제작되었다. 표지는 없고, 1책 27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원록』 2는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38.5㎝, 세로 22㎝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33㎝, 세로 18㎝의 가철 형태로 제작되었다. 표지는 없고, 1책 42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원록』 3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39㎝, 세로 26㎝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32㎝, 세로 22㎝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9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6) 『향안(鄕案)』은 저지 재질의 필사본이고, 외면의 크기는 가로 42.5㎝, 세로 31㎝이며, 내면의 크기는 가로 30.5㎝, 세로 23㎝의 선장 형태로 제작되었다. 1책 10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내용]

(1) 『부산서원 창건소제명록』은 1703년(숙종 29) 부산서원 창건에 참여한 인사들의 명단이다.

(2) 『부산서원 중수소제명록』은 1796년(정조 20) 부산서원 중수에 참여한 유사들의 명단이다.

(3) 『부산서원 사적』의 표제는 ‘부산서원 사적’으로 되어 있으나, 제목과 달리 1716년(숙종 42) 부산서원 임원들의 명단이다.

(4) 『부산서원안』 1, 『부산서원안』 2는 18세기 중엽에 작성한 부산서원 임원들의 명단 및 김창집(金昌集)부터 정만석(鄭晩錫)까지 10명의 역대 원장 명단이다.

(5) 『부산서원 규약』은 19세기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부산서원의 원규가 10개조 60항으로 기록되어 있다.

(6) 『부산서원 완문』은 1790년(정조 14)에 작성된 것인데, 표지 서명과 달리 내제는 ‘부산서원절목’이다.

(7) 『부산서원 절목』 1, 『부산서원 절목』 2는 각각 1808년(순조 8)과 1854년(철종 5)에 충청감영에서 부산서원에 발급한 절목이다.

(8) 『부산서원 완문 절목』은 1899년(고종 36)에 충청감영에서 부산서원에 발급한 절목이다.

(9) 『부산서원 서재 유안』 4점은 1859년(철종 10)부터 1863년(철종 14)까지 작성된 부산서원 서재 유생들의 명단이다.

(10) 『부산서원 유안』은 1866년(고종 3)에 작성된 부산서원 서재 유생들의 명단이다.

(11) 『부여현 부산서원 원생 정묘□□안』은 1866년(고종 3)에 작성된 부산서원 서재 유생들의 명단이다. 순수하게 서재에 기거하는 유생의 명단만을 실었다.

(12) 『부산서원 전민안』은 부산서원 노비와 토지에 대한 장부이다. 부여현에 있는 토지를 지역별로 나누어 기록하고, 토지 면적 및 토지 매득 일자, 매도인, 매득 시 가격[價折錢文], 문기 여부 등을 기록하였다. 작성 시기는 미상이다.

(13) 『부원 전곡문서』는 병오년에 작성된 문서이나, 정확한 작성 시기는 알 수 없다. 부산서원의 회계 장부인데, 입출금 내역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14) 『부산서원 양연보안』은 무오년에 작성된 문서이나, 정확한 작성 시기는 알 수 없다. 부산서원 소속 원노비의 명단이다.

(15) 『심원록』 1, 『심원록』 2, 『심원록』 3은 1751년(영조 27) 이후 부산서원을 방문하여 사우를 봉심한 인사들의 명단이다.

(16) 『향안』은 1812년(순조 12)에 작성된 문서이며, 부여 유향소를 운영한 사족들의 명단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서원 고문서는 18~19세기에 걸쳐 작성되었으며, 서원 운영과 관계된 명단, 규약, 절목, 전답안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시대 서원 운영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