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78
한자 興學堂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의자로 613[장하리 68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70년연표보기 - 흥학당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6년 - 흥학당 서원철폐령으로 훼철
이전 시기/일시 1957년 - 흥학당 이건
문화재 지정 일시 1987년 8월 3일연표보기 - 흥학당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5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흥학당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흥학당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흥학당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의자로 613[장하리 680]지도보기
성격 서당
양식 팔작지붕
소유자 풍양 조씨 종중
관리자 풍양 조씨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남산서원에 있는 조선 후기 서당.

[개설]

흥학당(興學堂)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에 있는 남산서원(南山書院)의 부속 건물이다. 1770년(영조 46) 건립되어 서당으로 활용되었다. 흥학당은 1987년 8월 3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바뀌었다.

[위치]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의자로 613[장하리 680]에 있다. 흥학당 뒤편에는 영당과 사당이 나란히 있다.

[변천]

흥학당은 1770년 조태징, 조명규, 조주진을 제향한 남산사와 함께 건립되어 남산서원을 이루며 서당으로 활용되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따라 1866년(고종 3) 폐지되었다가 1957년 8월 7일 이건되었다.

[형태]

흥학당 건물은 ㄷ자형의 평면 구성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운데 6칸의 넓은 대청마루가 있고 양쪽에 3칸과 4칸의 방과 부엌이 연결된 형태이다. 팔작지붕 건물이다. 흥학당 내부에 걸려 있는 「흥학당기(興學堂記)」에 따르면 본래 풍양 조씨 문중에서 학문을 강론하고 일으킨다는 뜻으로 설립하였다고 한다.

[현황]

흥학당은 현재 풍양 조씨 종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흥학당은 부여 지역에서 18세기 후반 풍양 조씨 가문이 세운 지방 교육 기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