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47
한자 臨江寺址
영어공식명칭 Temple Site Imgang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현북리 51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김영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64년 - 임강사지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문화재 지정 일시 1982년 8월 3일연표보기 - 임강사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34호 지정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9년 - 임강사지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시굴 조사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임강사지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소재지 임강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현북리 51 지도보기
성격 절터
지정 면적 26,664㎡
관리자 부여군청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현북리에 있는 백제 시대 절터.

[개설]

임강사지(臨江寺址)는 절의 이름이나 유래가 전해지지 않는 백제 시대의 절터이며, 임강사지가 있는 마을 이름인 ‘인갱’을 따서 ‘임강사지’라 하였다. 인갱마을은 지금은 작은 마을이지만, 조선 시대까지만 해도 역이 설치될 정도로 중요한 곳이었다. 임강사지는 1982년 8월 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3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지정 면적은 2만 6664㎡이다.

[위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문로371번길 10[현북리 180-2]에 있는 희여리 마을회관에서 서쪽의 동문로와 동문로419번길을 따라 1㎞ 정도 남쪽으로 가면 동쪽에 있는 용머리산의 서향 사면 하단부에 임강사지가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64년 동국대학교 박물관이 실시한 발굴 조사에서 정면 5칸, 측면 4칸, 초석 간격 3.6m 규모의 건물지가 조사되었다. 출토된 유물로는 연꽃무늬 수막새 기와, 치미 조각, 흙으로 만든 불상 조각, 탑의 머리장식 등이다. 주변에서 백제 기와를 굽던 가마터와 조선 시대의 분청사기 가마터도 확인되었다. 2009년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실시한 시굴 조사에서는 건물지 1동과 다량의 백제 시대 기와 조각, 금동제 장식 조각, 벽화 조각 등이 확인되었다.

[현황]

2023년 현재 임강사지에는 여러 채의 민가와 경작지가 조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임강사지는 유물이 광범위하게 확인되고 있어 마을 일대를 포함하는 대규모 사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벽화 조각이 발견되어 백제 회화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