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554
한자 鴻山刑房廳
이칭/별칭 비홍추청,이정우가옥,남촌리,부여 홍산현 관아,부여동헌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동헌로 38[남촌리 187]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안승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축|증축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홍산형방청 개건
문화재 지정 일시 1985년 12월 31일 - 홍산형방청 이정우가옥 충청남도 민속자료 제9호 지정
문화재 해지 일시 2004년 7월 21일 - 홍산형방청 이정우가옥 충청남도 민속자료 지정 해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04년 7월 21일연표보기 - 홍산형방청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8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홍산형방청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홍산형방청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홍산형방청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동헌로 38[남촌리 183-1]지도보기
성격 형방청
양식 목조와가
정면 칸수 5칸[몸채]|2칸[좌우 날개채]
측면 칸수 2칸[몸채]|1칸[좌우 날개채]
소유자 부여군
관리자 부여군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남촌리에 있는 조선 시대 홍산현 관아의 형방청.

[개설]

형방은 조선 시대 군현에서 형전을 담당하던 부서, 또는 형전 일을 맡은 책임 향리로 형방청은 형방이 근무하던 곳이다. 홍산형방청(鴻山刑房廳)은 최초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1871년(고종 8)에 현감 정기화가 개건한 것으로 전하며, 비홍추청(飛鴻秋廳)으로 불린다.

홍산형방청은 1985년 12월 31일 ‘이정우가옥’으로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호로 지정되었으나 2004년 7월 21일 지정 해제되었다. 홍산형방청은 2004년 7월 21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바뀌었다.

[위치]

홍산형방청은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동헌로 38[남촌리 183-1]에 있다. 홍산면주민자치센터에서 홍산우체국 방향으로 계속 가면 정면에 홍산동헌이 있고 북쪽에 홍산형방청이 있다.

[변천]

홍산형방청은 1871년 개건하고 수감 시설로 사용되다가 1914년 잠업 전습소로 사용되었다. 8·15 해방 후 개인의 살림집으로 사용되었고, 1984년 부여군에서 보수하였다.

[형태]

홍산형방청은 ㄷ자형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는 ㄷ자형의 중앙 부분에 3칸 통칸의 큰 대청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툇마루가 있는 온돌방이 있다. 평면 구성을 보면 가운데에 3칸을 방으로 꾸미고, 집을 바라보면서 우측 날개 부분에는 부엌을 배치하고, 좌측 날개 부분에는 마루방을 배치하였다. 우측 부엌 앞쪽으로 2개의 방을 배치하고, 좌측 마루방 앞에는 2개의 온돌방과 부엌을 나란히 배치하였다. 좌측 방 외부로 퇴칸마루를 두어 가운데 마루방과 연걸되도록 하였다. 가운데 있는 3개의 방 앞에도 퇴칸마루를 설치하였다. 우측 2개의 방 앞에는 바깔으로 튀어나오게 폭이 좁은 쪽마루를 설치하였다. 내부는 모두 우물천장으로 되어 있고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의의와 평가]

홍산형방청은 보기 드문 조선 시대 지방 관아 건물 중 하나이다. 특히 형방청은 희소하여 보존 가치가 크며, 홍산형방청은 조선 시대 형방청 건축 양식을 부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문화재이다.

[참고문헌]
  • 『부여군지』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3)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 문화재청(https://www.cha.go.kr)
  • 부여군청(https://www.buye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