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연화리 석관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520
한자 蓮花里 石棺墓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고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연화리
시대 선사/철기
집필자 이기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63년 - 연화리 석관묘 수습 조사 실시
소재지 연화리 석관묘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연화리 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부여박물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동남리 산18-2]지도보기
성격 무덤|석관묘
크기(높이,지름) 130㎝[길이]|50㎝[너비]|55㎝[깊이]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연화리에 있는 초기 철기 시대 무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연화리 석관묘(蓮花里 石棺墓)는 1963년 연화리의 주민이 동검 4개를 국립박물관에 신고하면서 유적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으며, 이후 간단한 수습 조사만이 실시되었다.

[형태]

연화리 석관묘의 수습 조사 기록에 의하면 무덤은 길이 130㎝, 너비 50㎝, 깊이 55㎝ 크기로 무덤구덩이를 파고 무덤구덩이 안에 판석형 석재로 돌널을 만든 형태인데, 조사 당시 돌널은 무너져 일부만 남아 있을 뿐이었다고 전한다.

[출토 유물]

연화리 석관묘에서 출토된 유물은 모두 청동기로, 세형동검 4점, 청동제 거친무늬거울 1점, 천하석제 식옥 1점 등이 수습되었다. 수습된 유물은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현황]

2023년 현재 연화리 석관묘의 정확한 위치는 확인할 수 없다.

[의의와 평가]

연화리 석관묘는 충청남도 부여, 논산 등 금강 중하류 지역의 초기 철기 시대 문화 양상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유적이다. 향후 유적의 위치를 재확인하고 본격적인 발굴 조사를 실시한다면 초기 철기 시대 문화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