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근대 의병운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432
한자 近代 義兵運動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헌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05년연표보기 - 을사조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전국 각지에서 의병운동 발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06년 3월 14일 - 홍주의병 본격적인 활동 시작
발생|시작 시기/일시 1906년연표보기 - 부여 출신 인물들 홍주의병에 참여
성격 의병운동
관련 인물/단체 이용규|홍순대|조병두|송순묵|이한구

[정의]

1905년 을사조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부여 지역의 홍산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 항쟁.

[개설]

1905년 일본은 대한제국에 을사조약 체결을 강요하였고, 대한제국은 외교권을 박탈당하였다. 근대 의병운동(近代 義兵運動)은 1905년 을사조약의 강제 체결에 저항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부여 지역 인근에서도 1906년 홍주의병이 일어났다. 이용규홍순대 등 부여 출신 인물들이 홍주의병에 참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역사적 배경]

일본은 1904년 발발한 러일전쟁을 계기로 대한제국에 대한 침탈을 지속하고 있었다. 1904년 2월에는 대한제국에 대한 내정 간섭과 군사기지 사용권 허가를 골자로 한 한일의정서를 강요하였다. 1904년 8월에는 제1차 한일협약을 체결하여 일본인 재정고문과 일본 정부가 추천한 외무고문을 고용하게 하여 내정 간섭을 강화하였다. 심지어 1905년 11월에는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는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기도 하였다. 이후 일제는 1906년 2월 통감부를 설치하고, 고문 정치를 통하여 대한제국의 내정을 장악하여 갔다. 전국 각지에서 이러한 일제의 침략에 맞서 의병운동이 일어났다.

[경과]

부여 지역의 인물들도 의병운동에 참여하였다. 부여인들과 밀접한 의병 부대는 홍주의병이다. 홍주의병은 1906년 3월 14일 예산의 광시에서 봉기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후 청양의 합천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안병찬 등이 체포되면서 패배하였다. 패배 후 흩어졌던 홍주의병은 부여 출신이자 홍주의병을 주도한 민종식의 처남 이용규가 합천 전투에서 패한 뒤 전주, 진안, 장수, 무주, 익산, 군산 등지를 다니며 의병을 모집하는 활동을 하는 활약에 힘입어, 5월 9일 부여에서 재차 봉기하였다. 이후 홍주의병은 서천 지역과 남포, 결성 등을 지나 5월 19일 홍주성을 점령하였다. 이에 일본 경찰과 헌병대의 공격이 이어졌지만, 격퇴하였다. 하지만 일본군 2개 중대가 홍주로 파견되었고, 전주 지역 수비대의 지원을 받아서 파상 공세를 이어 가다 결국 의병 연합부대는 홍주성을 내주게 되었다.

[결과]

1906년 홍주의병에 참여한 부여 인물은 이용규를 비롯하여 은산면 합수리 출신의 홍순대, 이용규의 매제인 은산면 장벌리 출신의 조병두, 부여읍송순묵, 임천면 발산리 출신의 이한구 등이 있다.

이용규는 홍주의병의 참모직을 맡았는데, 홍주성 전투 이후 1906년 7월 매제인 조병두와 채경도 등과 함께 청양에서 의병을 모집하였고, 연산 부흥리 등지에서 일본군과 싸웠다. 부흥리 전투에서 매제 조병두를 잃은 이용규는 10월경 예산에서 민종식과 합류하여 재봉기를 추진하였다. 민종식을 대장으로 하고 이용규 자신은 참모직을 맡았다. 그리고 11월에 예산 관아를 점령하기도 하였다.

홍순대는 홍주성 전투 이후 1906년 11월 초에 부여군 은산면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활동하였다. 송순묵은 홍주의병의 좌군관을 맡아 활동하다가 홍주성 전투 이후 서천과 정산 등지에서 전투를 벌였다. 이한구도 홍주의병에 속하였으며 한산과 인천 등지에서 의병을 모집하는 활동을 하였다.

그 외에 부여 출신 의병 참여자는 이규철신봉만, 이성택, 이성우, 박덕근, 김판돈, 이박원, 정관신, 김광옥, 이성법, 한학삼, 한성수, 한사용, 한기안, 권운택, 이덕현, 정용운 등이 있다. 이규철은 은진에서 군수품과 의병 모집 활동을 하였고, 지리산 일대에서 일본군과 교전하다가 1908년 충청북도 제천군 덕산면에서 체포되었다. 신봉만과 이덕현 등도 부여 일대에서 의병 활동을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을사조약에 반대한 근대 의병운동은 일본의 침략에 대항한 국권회복운동의 성격을 지니며, 홍주의병은 그중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홍주의병에 참여한 부여인들의 활약 또한 역사적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