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122
한자 萬德橋
영어공식명칭 Mandeokgyo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42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681년연표보기 - 만덕교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69년 - 만덕교 보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 만덕교 복원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1년 1월 3일연표보기 - 만덕교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54호 지정
전구간 만덕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428 지도보기
성격 교량
길이 약 12m
3.5m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에 있는 다리.

[개설]

만덕교(萬德橋)는 1681년(숙종 7) 부여 내산 방면에서 홍산현 관아로 향하는 길목에 건설된 다리이다. 최초에는 무지개 모양으로 만들어졌지만 1869년(고종 6) 홍수로 부서진 다리를 보수하면서 현재와 같은 평교(平橋) 형태의 돌다리가 되었다.

[명칭 유래]

만덕교는 만인에게 덕이 돌아간다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제원]

만덕교의 길이는 약 12m, 폭은 약 3.5m이다. 평교의 형태로 화강암으로 된 4개의 교각을 세웠으며, 상판도 모두 판석으로 올렸다.

[건립 경위]

만덕교를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홍산만덕교비(鴻山萬德橋碑)에 따르면, 1681년 홍산객사(鴻山客舍) 동쪽에 하천이 흐르지만, 건널 수 있는 다리가 없어 무지개 모양의 다리를 놓았다고 전한다.

[변천]

만덕교 개건비에 따르면, 1869년 홍수로 부서진 만덕교를 보수하면서 무지개 다리였던 만덕교는 평교가 되었다. 만덕교는 1946년 큰 홍수로 부서졌으나, 1994년 남아 있던 일부 석재를 모으고 없어진 부분을 새로 만들어 원래 자리에 다시 세웠다.

[현황]

만덕교는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5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홍산면 북촌리에 있는 홍산배수장 안에 있다. 1980년대 경지 정리 이전에는 홍산천이 흘렀던 곳이다. 현재 만덕교는 논 어귀에 자리하고 있다.

홍산만덕교비는 원래 다리 옆에 있었으나 홍수로 만덕교가 부서지면서 홍산초등학교 자리로 옮겼다가 2022년 현재는 홍산객사 안에 있다. 만덕교홍산객사에서는 200m 정도 떨어져 있다. 홍수로 부서진 석재들은 마을 빨래터에서 빨랫돌로 쓰였으나, 1994년 만덕교를 복원하면서 석재를 모두 정리하였다.

[참고문헌]
  • 부여군청(https://www.buyeo.go.kr)
  • 충청남도청(http://www.chungnam.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