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056
한자 佳增川
영어공식명칭 Gajeungcheon
이칭/별칭 가징개,가증,광지포(光之浦)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상금리|송곡리|가증리|쌍북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가증천 - 충청남도 부여군
해당 지역 소재지 가증천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상금리|송곡리|가증리|쌍북리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17.22㎢[유역 면적]
길이 5.45㎞[하천 연장]|7.91㎞[유로 연장]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상금리에서 발원하여 송곡리, 가증리를 거쳐 쌍북리에서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명칭 유래]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가증천은 부여군 몽도면[현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의 중심을 뚫고 서남쪽으로 흐르는 천이며, 금강으로 합류한다. 가증천은 ‘가징개’ 또는 ‘가증’, ‘광지포(光之浦)’라고 불렀는데, 정확한 명칭 유래는 전하지 않는다.

[자연환경]

가증천금강이 만나는 호암습지에는 국외 반출 승인 대상인 모래무지, 눈불개, 납자루, 떡납줄갱이, 몰개, 참마자, 치리, 얼록동사리가 서식한다. 이 중 떡납줄갱이와 몰개는 멸종위기의 야생 생물종 적색목록에서 관심 대상에 속하고, 치리는 정보 부족[DD]에 속한다. 호암습지에는 생태계 교란 생물인 배스도 서식한다.

[현황]

가증천(佳增川)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상금리 보각골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굽이쳐서 송곡리, 가증리를 거쳐 쌍북리에 이르러 부소산 북쪽 아래에서 금강으로 흘러드는 금강의 제1지류이다.

가증천의 하천 연장은 총 5.45㎞이고, 유로 연장은 7.91㎞이며, 유역 면적은 17.22㎢이다. 하천 제방은 총 10.84㎞가 건설되어 있으며, 제방 정비 완료 구간은 7.8㎞, 제방 필요 구간은 3.04㎞이다.

가증천에는 총 9개의 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 ‘가증천 1’과 ‘가증천 2’ 2개의 보에 어도가 설치되어 있다. 어도는 하천에 물고기 등의 이동을 곤란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만드는 방해물이 있을 때 물고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수로나 장치를 말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