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94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에 있는 백산에서 개최한 동학 농민 혁명 출정식. 고부(古阜) 군수 조병갑(趙秉甲)의 탐학과 수탈을 계기로 고부에서 봉기한 민중은 무장(茂長)에서 전열을 정비한 뒤, 호남 각지에서 온 민중이 백산에 모여 혁명군으로서의 조직을 갖추었다. 또한 혁명의 대의를 밝힌 격문(檄文), 강령에 해당하는 사대 명의(四大名義),...
-
개항기에 이기가 전라북도 부안의 변산을 유람한 내용을 기록한 한시. 「기유(紀遊)」는 실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이기(李沂)[1848~1909]가 변산(邊山) 지역의 유람 여정을 먼저 기록하고, 이를 묘사한 한시이다. 이기는 본관이 고성이고, 자는 백증(伯曾), 호는 해학(海鶴)·질재(質齋)·재곡(梓谷)·효산자(曉山子)이다. 「기유」는 그의 저서 『해학유서(海鶴遺書)』 권11 시(詩)...
-
1869년 송병선이 부안의 변산을 유람하고 남긴 기행문. 「변산기(邊山記)」는 1869년(고종 6)에 개항기 순국지사 송병선(宋秉璿)[1836~1905]이 전라북도 부안의 변산 지역을 여행하고 기록한 기행문이다. 19세기 대표적인 도학자이자 유기(遊記) 문학가인 송병선은 1905년 을사조약이 강행되자 이를 반대하며 자결한 인물이다. 그는 송시열(宋時烈)의 9대손으로 자는 화옥(華玉...
-
1897년 소승규가 변산을 유람하고 쓴 기행문. 「유봉래산일기(遊蓬萊山日記)」는 개항기의 학자 소승규(蘇昇奎)[1844~1908]가 1897년 4월 16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안의 변산 지역을 여행하고 기록한 기행문이다. 소승규는 본관이 진주이고, 자는 자화(子和), 호는 난곡(蘭谷)이다. 저서에 『난곡유고(蘭谷遺稿)』가 있는데, 여기에 「유봉래산일기」가 수록되어 있다. 『난곡유고...
-
1872년 조선 정부에서 제작한 전국 지방 지도 중 부안 검모포 지도. 19세기 후반 조선은 정치·경제·사회적 혼란으로 어려운 시기였다. 이에 대내적으로는 정치·경제·사회를 바로잡고, 대외적으로는 서양 세력을 물리치기 위한 군비의 정비가 필요하였고,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1872년 지방지도』「부안 검모포 지도(扶安黔謨浦地圖)」가 제작되었다. 『1872년 지방지도』는 채색 필...
-
1872년 조선 정부에서 제작한 전국 지방 지도 중 부안 위도진 지도. 19세기 후반 조선은 정치·경제·사회적 혼란으로 어려운 시기였다. 이에 국내적으로 정치·경제·사회를 바로잡고, 대외적으로는 서양 세력을 물리치기 위한 군비의 정비가 필요하였고,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1872년 지방지도』「부안 위도진 지도(扶安蝟島鎭地圖)」가 제작되었다. 위도(蝟島)는 『문헌비고(文獻備考)...
-
부안에서 활동한 조선 말 유학자 김영채의 시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김영채(金永寀)[1842~1890]의 본관은 부안(扶安)이며, 자는 영수(永壽), 호는 금하(錦霞)이다. 과거를 통한 출세에 대한 뜻을 접고 처사로 지내며 위기지학(爲己之學)에 힘썼다. 마을 뒤에 장수재(藏修齋)를 짓고 봄가을에는 학문을 강의하고 여름과 겨울에는 저술에 종사하였다. 지역 인재 육...
-
부안에서 활동한 조선 전기 문신 허진동의 시와 산문을 엮어 1870년에 간행한 시문집. 허진동(許震童)[1525~1610]의 본관은 태인(泰仁)으로, 자는 백기(伯起), 호는 동상(東湘)이다. 예빈시 참봉(禮賓寺參奉)·삼례찰방(參禮察訪)·수운판관(水運判官) 등을 역임하였다. 외숙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노진(盧禛), 백광훈(白光勳) 등과 교유하였고, 관직 생활보다는 학문에 힘썼...
-
1877년경 편찬된 전라도 부안현의 지리 정보들을 모은 읍지. 『부안읍지(扶安邑誌)』[想白古 915.14-B85]는 1877년(고종 14)에 작성되었다. 항목 구성으로 보아 1788년~1796년에 이루어진 전국 지리지 『해동여지통재(海東輿地通載)』 편찬 작업의 일환으로 작성된 읍지를 토대로 하여, 일부 내용을 당시의 사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것으로 보인다. 첨부된 지도는 1877년...
-
1887년 최봉환 등이 편찬한 전라북도 부안의 사찬 읍지. 『부안지(扶安志)』는 1759년(영조 35)에 처음 만들어진 『부안읍지』를 1887년(고종 24)에 증보하여 중간(重刊)하고, 최봉환(崔鳳煥)이 서문을 썼다. 최봉환을 비롯한 몇몇 해당 지역 유생들이 협력하여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판식은 사주단변(四周單邊)[판면의 가장자리 선이 단선으로 된 것], 반곽(半廓)의 크기는 2...
-
1899년에 편찬된 『전라북도각군읍지』에 수록된 부안군 읍지. 『전라북도각군읍지』에 속한 군들로는 전주(全州), 남원(南原), 고부(古阜), 김제(金堤), 태인(泰仁), 여산(礪山), 금산(錦山), 익산(益山), 임피(臨陂), 금구(金溝), 함열(咸悅), 부안(扶安), 무주(茂朱), 순창(淳昌), 임실(任實), 진안(鎭安), 진산(珍山), 만경(萬頃), 용안(龍安), 고산(高山),...
-
부안 출신의 개항기 학자 김종순의 시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김종순(金鍾順)[1837~1886]의 본관은 부안(扶安)이며, 자는 백존(伯存), 호는 직헌(直軒)이다. 총명한 자질로 과거 공부를 준비하다 이십대 중반부터 위기지학(爲己之學)으로 공부 방향을 전환하였다. 이후 전재(全齋) 임헌회(任憲晦)의 문인이 되어 평생 동안 학자로서의 삶을 견지하였다. 간재(艮齋...
-
1895년에 제작된 『청구요람』에 수록된 부안현 지도. 『청구요람(靑邱要覽)』은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분첩식 대축척 전국 지도인 『청구도(靑邱圖)』를 1895년(고종 32)에 모사한 이본(異本)으로 현재 9점이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내용적으로는 세 종류의 유형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청구요람』은 건·곤(乾·坤) 2권으로 되어 있...
-
1895년에 편찬된 『호남읍지』에 수록된 부안현 읍지. 『호남읍지(湖南邑誌)』[1895]는 전라도의 각 군현에서 작성한 읍지와 사례를 합편하여 1895년에 편찬한 지방지로 전라 감영(全羅監營)에서 1899년에 간행하였다. 『호남읍지』[1895]는 총 18책으로 되어 있으며, 6책에 부안현(扶安縣)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부분 채색된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으로, 크기는 28.7×17....
-
1895년 전라도의 각 진에서 편찬한 진지와 사례를 합편한 책 중 부안 격포진 지도. 『호남진지(湖南鎭誌)』는 1895년(고종 32) 조선 정부에서 지방 제도와 군사 제도 개편을 앞두고 전국의 지리 자료를 조사 및 취합하여 합편한 책으로, 부안 격포진(格浦津)을 비롯한 전라도 31개 진에 대한 진지(鎭誌) 및 사례(事例)를 수록하고 있다. 『호남진지』는 필사본이며, 3책 176장[...
-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용서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각.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경주 김씨 정려(慶州金氏旌閭)는 개항기에 경주 김씨(慶州金氏) 가문의 효자 김응규(金應圭)와 김응규의...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난산리에 있던 개항기 누정. 계고정(稽古亭)의 ‘계고(稽古)’ 어원은 다음과 같다. 후한(後漢) 환영(桓榮)이 광무제(光武帝)로부터 태자소부(太子少傅)의 임명을 받자, 가르치던 유생들을 모아 놓고는 “오늘날 이런 은총을 받게 된 것은 모두가 계고의 힘이니, 어찌 분발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今日所蒙 稽古之力也 可不勉乎]”라고 말한 고사[『후한서(後漢書)』 37...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난산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고부 이씨 정려(古阜李氏旌閭)는 고부 이씨(古阜李氏)인 이협(李峽)과 이만록(李萬祿)의 효행을 기리기...
-
전라북도 부안군 행안면 역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김행원 정려(金行元旌閭)는 개항기에 김해 김씨(金海金氏) 김행원(金行元)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
1894년 전라북도 부안에서 봉건적 착취·수탈과 일본 등의 제국주의적 침략에 맞서 일어난 민중의 자주적 사회 변혁 및 근대화 운동.· 동학 농민 혁명은 1893년 11월 전라도 고부(古阜)에서 결의한 ‘사발통문 거사 계획’에 이어, 이듬해 1월 10일의 고부 봉기와 3월 20일의 무장 기포를 거쳐, 3월 26일의 백산 대회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동학 농민군은 황토현...
-
1894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의 백산성에서 동학 농민 혁명의 본격적인 시작을 대내외에 알린 대규모 군중집회. 고부 군수 조병갑(趙秉甲)의 탐학과 수탈을 계기로 고부에서 봉기한 민중의 일부가 백산성(白山城)으로 이동하여 성을 수리하며 머물렀고, 전봉준(全琫準) 등이 무장(茂長)으로 이동하여 전열을 정비하고 백산에 모임으로써, 동학 농민군이 혁...
-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 사산리에 있는 오영필과 그의 처 창원 김씨의 효열을 기리기 위하여 1892년에 세운 비. 오영필(吳榮弼)의 본관은 보성(寶城)이며, 아버지는 오신일(吳信一)이다. 부모를 섬기는 데 지성을 다하였다. 늙은 아버지의 병에 정성으로 탕약(湯藥) 달이기를 7년을 하였고, 어머니의 병에 5년을 대소변을 돌보는 일과 미음 공양(供養)을 몸소하였다. 상(喪)을 당하여서는...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에 있는 김상진과 처 천안 전씨의 효열을 기리기 위하여 1891년에 세운 비. 김상진(金相辰)의 본관은 부령이다. 부호군 김응위(金應謂)의 6세손이다. 처는 천안 전씨(天安全氏)로 전석흥(全錫興)의 딸이다. 부부가 모두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부모가 병들자 지극정성으로 보살폈으며, 돌아가시자 예법에 조금도 어긋남이 없이 상을 치렀다. 그 뒤 3...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줄포리에 있는 개항기의 고택. 부안 김상만 고택(扶安金相萬古宅)은 인촌 김성수의 양아버지인 김기중(金祺中)이 줄포 지역에서 제일가는 터를 골라 개항기에 지은 집이다. 김성수는 고창군 부안면 봉암리 일대에서 살다가 화적 떼의 횡포로 이곳 줄포로 이사 와 어린 시절을 보냈다. 김상만은 김성수의 아들이다. 부안 김상만 고택은 부안군 줄포면 교하길 8[줄포리 445...
-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 당상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부안 김씨 효열문(扶安金氏孝烈門)은 개항기에 부안 김씨(扶安金氏) 김채상(金彩相)[1794~1868]과...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신흥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정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송윤팔 정려(宋潤八旌閭)는 개항기에 송윤팔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송윤팔의 본관은 여산(礪...
-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 소주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각.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여산 송씨 선효각(礪山宋氏善孝閣)은 개항기에 여산 송씨(礪山宋氏) 송윤승과 부인 부령 김씨(扶寧金氏)...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내요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정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여양 진씨 삼효려(驪陽陳氏三孝閭)는 개항기에 여양 진씨(驪陽陳氏) 진우방(陳佑邦)과 진득서(陳得瑞...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모산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각.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이원수 정려(李元秀旌閭)는 개항기에 전주 이씨(全州李氏) 이원수(李元秀)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 당상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장순붕 정려(張順鵬旌閭)는 개항기에 인동 장씨(仁同張氏) 장순붕(張順鵬)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평교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정선문 처 전주 이씨 정려(鄭宣文妻全州李氏旌閭)는 개항기에 동래 정씨(東萊鄭氏) 정선문(鄭宣文)의 처...
-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 하장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문.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최갑룡 정려(崔甲龍旌閭)는 개항기에 전주 최씨(全州崔氏) 최갑룡(崔甲龍)[1786~1864]의 효행을...
-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 내기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최영태 처 평강 채씨 정려(崔榮泰妻平康蔡氏旌閭)는 개항기에 전주 최씨(全州崔氏) 최영태(崔榮泰)의 처...
-
개항기 부안 출신의 문관. 개항기에 문과에 급제하여 중앙 관리를 지낸 전라북도 부안 출신의 문관이다. 본관은 탐진(耽津). 자는 덕장(德章), 호는 학남(鶴南)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사복시정(司僕寺正)에 증직된 최석대(崔錫大), 증조할아버지는 이조 참의에 증직된 최진해(崔鎭海), 할아버지는 이조 참판에 증직된 최시권(崔時權)이다. 큰아버지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돈령부사(同知敦寧府事...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장동리에 있는 개항기 재실. 춘원장(春園莊)은 영월 신씨(寧越辛氏)의 재실로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당시 줄포(茁浦) 도소[집강소]로 추정된다. 1894년(고종 31) 동학 농민 혁명 때 줄포 지역에 ‘도소’를 설치하여 자치를 실현하였는데, 춘원장이 도소 건물로 추정된다. 그때 상황이 다음과 같이 전한다. “줄포는 유명한 포구로 인물과 재산이 풍부하고...
-
1890년대 후반부터 1910년까지 전라북도 부안군 지역에서 일제 침략에 맞서 전개한 의병 투쟁. 항일 의병 운동은 시기에 따라 일제 침략과 의병 전쟁 발단기의 전기 의병 운동, 일제의 반식민지적 강요와 의병 전쟁 전개기의 중기 의병 운동,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과 의병 전쟁 발전기의 후기 의병 운동, 대한제국 멸망과 독립군 작전기의 전환기 의병 운동, 일제 식민 통치 당시 유격 항...
-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 증산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각.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황석정 정려(黃碩政旌閭)는 개항기에 우주 황씨(紆州黃氏) 황석정(黃碩政)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